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혈관시술센터

뇌혈관질환

Home > 뇌혈관질환 > 뇌동맥박리 및 박리성 동맥류

뇌동맥박리 및 박리성 동맥류

두개강내 박리성 동맥류(dissecting aneurysm)는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관의 내벽이 찢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혈관내벽이 찢어지면 혈관이 얇아져서 파열되게 되어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또는 찢어진 벽에서 혈전이 발생하거나 찢어진 내벽이 치유되면서 혈관이 좁아져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 뇌동맥박리가 일어나 약해진 혈관벽이 부풀어 오른 경우를 박리성 동맥류라 한다.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 경과관찰을 할 수 있지만 뇌경색이나 뇌출혈을 일으킨 경우는 치료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는 특히 추골동맥(vertebral artery)의 동맥박리가 흔하며 증상은 대개 갑자기 한쪽 뒷머리에 심한 통증이 발생하고 이 통증이 머리 위쪽으로 뻗치게 되며 그 후 뇌출혈 혹은 뇌경색과 관련된 증상이 발생하게된다. 뇌출혈은 대개 지주막하 출혈이며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과 비슷한 경과를 가지게 되나 재출혈 발생 가능성이 훨씬 높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할 가능성이 높다.
뇌경색이 발생할 경우 뇌경색의 위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추골동맥이 혈액을 공급하는 부위가 뇌간, 소뇌, 후뇌 부위이기 때문에 이 부위의 뇌경색은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뇌출혈이나 뇌경색 없이 두통만 있으면 양호한 경과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간단한 약물 치료를 시행 받고 정기적인 검사(MRI)를 시행 받게 된다. 

bcd4_6_1.jpg

발생원인

발생 원인은 불분명하다. 간혹 심한 목 운동, 요가 등 외상이 관련된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다.

뇌동맥류 박리에 의한 뇌졸중

진단

전산화단층 혈관조영술 (CTA) 및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MRA) -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선별검사를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정확성에 있어서는 뇌혈관조영술에 비해서는 떨어진다. 검사상 뇌동맥박리가 의심이 되는 경우 확진과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해 뇌혈관조영술이 필요하다. 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하고 퇴원한 후 외래에서 추적 검사를 시행할 때는 대개 MRA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

치료

출혈이 발생한 경우는 반드시 가능한 빨리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수일내 혹은 수개월 이내에 재출혈이 발생하고 사망 혹은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가장 확실한 치료는 박리가 일어난 혈관 자체를 막아버리는 것이며, 이 방법이 가장 확실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외과적 수술로 할 수도 있으나 요즘은 대개 혈관내수술법으로 백금코일을 사용하여 혈관을 막게 된다. 간혹 혈관을 막으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혈관을 보존하기 위해 스텐트를 삽입하거나 혈관은 놔둔 채 박리성 동맥류 내에만 코일을 삽입하여 폐색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완벽한 치료가 되지 않아 다시 재발될 수도 있다.
허혈성 증상(뇌경색)이 있는 경우 혈관을 막는 치료를 하지 않고 약물치료 (항응고제, 항혈소판제)를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동맥박리는 질환의 특성상 시간 경과에 따라 그 모양이나 상태가 변화할 수 있고 그 변화가 좋은 방향일 수도 있으나 점차 악화되는 양상일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빠른 시일 내에 경과 관찰을 위한 추적 검사를 시행 받아야 하고, 이 검사상 뇌혈관박리가 악화되는 양상이거나 환자의 증상이 점차 심해지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bcd4_6_2.jpg

스텐트를 이용한 뇌동맥류 박리치료

bcd4_6_3.jpg

코일을 이용한 뇌동맥류 박리치료(동맥박리 부위의 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