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을 삼키기 힘들고 사레가 자주 걸려요 |
삼킴장애 |
감수. 재활의학과 김원석 교수 |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찾아오시는 길입니다.
우)1362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공지사항을 알려드립니다.
다양하고 유익한 건강상식을 제공해 드립니다.
음식을 삼키기 힘들고 사레가 자주 걸려요 |
삼킴장애 |
감수. 재활의학과 김원석 교수 |
맛있는 음식을 좋은 사람들과 마음껏 먹고 나누는 것은 삶의 큰 즐거움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음식을 먹을 때 자꾸 힘들고, 사레가 걸린다면 어떨까요? 특히 어르신들께 삼킴장애가 생기면, 영양상태가 나빠지고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면서 페렴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노인 3명 중 1명이 삼킴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만큼, 어르신들의 삼킴장애의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음식을 삼키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음식물이 구강 뒤쪽으로 이동되는 ‘구강단계’, 흔히 “꿀꺽” 하는 삼킴반사가 유발되며 기도가 닫히고 음식이 식도 입구까지 이동하는 ‘인두단계’, 음식물이 식도로 들어가 연동운동에 의해 위로 이동하는 ‘식도단계’입니다. 이 중 어느 단계에서라도 이상이 있으면 삼킴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삼킴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주요 증상은 삼킴의 시작이 어렵고, 음식물이나 침을 입술 주변으로 흘린다던지, 음식물이 목에 걸리는 느낌이 들고, 사레가 빈번히 나타나는 경우, 음식물을 삼킨 이후 목소리가 걸걸해지고, 삼킬 때 마다 숨이 찬 느낌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삼킴장애의 진단은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증상을 평가하고, 구강과 인두기의 삼킴에 대한 신체 검진을 시행해 삼킴장애의 원인을 유추합니다. 삼킴장애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뇌졸중, 파킨슨병과 같은 뇌신경질환이지만, 노화가 진행되며 다양한 이유로 일시적인 또는 지속적인 삼킴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이후 삼킴장애 등 그 원인이 비교적 명확한 경우 외에 원인이 불명확한 상황은 검진 결과에 따라 혈액검사, 엑스레이 등의 영상검사, 신경근육질환 감별을 위한 근전도 등의 전기진단 검사, 위/식도의 구조적 이상을 보기 위한 내시경 검사, 식도연동 운동 이상을 확인하기 위한 식도내압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이비인후과, 신경과, 소화기 내과 등 관련 전문과들과의 협진도 고려됩니다.
더불어 삼킴장애의 심한 정도에 대한 기능 평가를 비디오투시검사를 통해 시행합니다. 검사는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조영제가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음식을 섭취하고, 전문의가 비디오 투시 영상을 통해 삼킴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기도로 음식물이 넘어가는지, 음식이 구강 및 인두에 얼마나 남는지, 삼킴 반사가 적절한지 등을 평가하여 삼킴장애의 심한 정도를 결정하고, 적절한 재활치료 방침 및 안전한 음식물의 형태를 추천하게 됩니다.
삼킴장애의 치료는 크게 재활치료와 음식물 형태의 변경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재활치료는 주로 작업치료실에서 진행되며, 삼킴장애를 줄이기 위한 턱 당기기 (음식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머리를 앞쪽으로 약간 숙이고 턱을 당김), 노력 삼킴 (음식을 삼킬 때 혀를 뒤로 강하게 당기면서 혀와 목구멍을 최대한 쥐어 짜듯이 삼킴) 등의 보상훈련을 연습하게 됩니다. 또한 작업치료사가 볼, 턱, 입술 부위의 감각을 자극하고, 면봉 또는 설압자를 이용해 목젖 주위를 부드럽게 자극하여 삼킴반사를 유도하거나, 턱 밑과 목 주위의 근육을 전기로 자극하는 치료도 병행됩니다.
음식물은 환자의 씹는 능력, 혀 및 입술의 적절한 움직임 정도에 따라 고형식 형태를 다지거나, 가는 등으로 변경하는 것을 교육하게 되며, 더 중요하게는 물과 같은 유동식의 점도를 환자 평가 결과에 따라 조정하게 됩니다. 물과 같이 점도가 낮은 유동식들은 매우 빠르게 구강 및 인두를 통과하게 되고, 삼킴장애 환자에서 이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주로 유동식에서 사레가 자주 걸리는 것을 보게 됩니다. 이 경우 점도 증진제를 이용하여 유동식을 좀더 끈적하게 만들어 섭취하는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많은 경우 재활치료에 의해 삼킴장애가 호전되면서 경구 식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지만 삼킴장애로 인해 심한 영양결핍이 발생하거나, 폐렴의 위험성이 높은 경우 의료진도 마음이 아프지만 관을 이용한 경관식이를 상의드리게 됩니다. 경관식이를 통해 영양상태가 호전되고 재활치료에 잘 참여하게 되면서 삼킴장애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코에 관을 넣는 다는 것 때문에 단순히 이를 거부하기 보다는 의료진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결정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삼킴장애의 원인 및 정도가 매우 다양하여 진단 및 치료가 일괄되어 적용될 수 없으므로, 삼킴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꼭 전문의의 진료 후 필요한 평가 및 검사를 시행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증상이 있다면 꼭 전문의와의 상담과 치료를 통해 먹는 즐거움을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 해당 기사와 사진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저작물로 임의로 복사, 수정, 변형, 재가공하여 게시, 배포하였다면 이는 저작권자인 당사의 허가없이 2차저작물을 작성한 것으로 저작권 위반에 해당됩니다.
ISMS 인증
인증범위 : 의료정보시스템(OCS,EMR)
및 홈페이지 서비스 운영
유효기간 : 2021.01.06 ~ 2024.01.05
BSI ISO27001
인증번호 : IS 679936
유효기간 : 2020.09.15
~ 2023.09.14
BSI ISO27799
인증번호 : PHIS 731156
유효기간 : 2020.09.15
~ 2023.09.14
웹접근성 인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EB ACCESSIBILITY
EMR 7단계 인증
미국외 세계최초
EMR 7단계 인증(2010년)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