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찾아오시는 길입니다.
우)1362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공지사항을 알려드립니다.
다양하고 유익한 건강상식을 제공해 드립니다.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은 심한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 머리를 움직일 때 마다 순간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심한 어지럼증이 특징입나다. 환자들은 보통 누울 때나, 누웠다가 일어날 때, 고개를 숙이거나 쳐들 때, 높은 곳을 보거나 선반 위의 물건을 집기 위해 머리를 뒤로 젖힐 때, 자다가 옆으로 돌아 누울 때 갑작스럽게 어지럼증을 겪습니다.
첫 증상은 주로 아침에 일어날 때나 자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어지럼증과 함께 멀미 증상(속 울렁거림 및 구토)이 동반됩니다. 심한 어지럼증은 대개 1분 이내에 사라지나, 고개를 돌릴 때마다 증상이 유발되고, 발작 사이에도 경미한 증상(어질어질한 기운 및 속 메스꺼움)은 유지되므로 환자들은 계속해서 어지럽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은 내이의 전정기관에 있는 이석(작은 돌들로서 머리의 기울어짐을 알아차리는 역할을 함)이 변성되면서 돌 부스러기들이 머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세반고리관 내로 들어가 머리를 움직일 때 마다 어지럼증이 유발되는 질환입니다 (그림 1). 대부분의 경우 원인을 알지 못하나 일부 환자에서는 머리를 다친 후나, 감기 또는 전정신경염을 앓은 후에 발생합니다.
전정기관에 들어 있는 이석 (A) 및 이석의 부스러기가 반고리관내로 들어가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모양 (B)
양성 체위성 발작성 현훈은, 환자를 침대에 앉힌 다음, 고개를 한쪽으로 돌린 상태에서 환자를 눕히면서 침대 밑으로 고개를 젖혀 증상이 유발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머리 현수 검사
머리 현수 검사에 의해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이 확인되면, 머리의 위치를 단계적으로 바꾸는 동작에 의해 세반고리관에 들어있는 돌 부스러기들을 제거하여 치료합니다 (그림 3). 이 방법이 성공하면, 머리의 움직임에 의해 유발되는 발작적인 심한 어지럼증은 바로 사라집니다. 그러나 경미하게 어질어질한 증상은 수일에서 수주에 걸쳐 점차 수그러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일부에서는 제거된 돌 부스러기가 다시 세반고리관 내로 들어가 재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앞서의 방법을 다시 사용하여 돌 부스러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며칠 동안 환자들은 머리를 뒤로 젖히지 않도록 하고, 잘 때에도 가능한 한 높은 베개를 사용하며, 증상이 유발되었던 방향으로 돌아눕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합니다.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의 치료법인 이석 전치술